반응형

 

 

 

발해 녹유 수막새 입니다.

 

일본 도쿄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막새하고 연결된 수키와 몸통부위가

 

특별히 발견되지는 않은 듯 합니다.

 

 

 

그래서 치미 뒷편이나 특수기와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수막새

 

입니다만,

 

 

 

그냥 일반적인 수키와에 부착된

 

수막새로 사용했을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으로

 

발해 건축물에 적용해봤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특수기와나

 

치미뒷편에 사용된 수막새 일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 각종 발해 사찰터와

 

궁궐터에서 출토된 각종 기와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만들어봤습니다.

 

 

 

 

#발해기와

 

#발해치미 #발해유물

#발해 특이한 유물

#발해 특이한 기와

#발해 멋있는 유물

#발해 복원

#발해 건축 복원및 재현

 

 

 

반응형
반응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발해 9절터 녹유귀면와 복원품

 

 


발해 녹유 귀면와 입니다.

유약을 발라 구운 초록색

녹유 기와이며, 귀면와 입니다.

 

 

이 귀면와는 발해 상경용천부

 

성안에 있는 온갖 궁궐 + 사찰터

 

등등, 전부 발견된다고 합니다.

 

 

발해 상경용천부 2호궁전터 / 9호 절터 녹유귀면와

 

 

 

사진에 2번은 상경용천부 2호 궁전터

 

에서 발견된 온전한 모습의 녹유귀면,

 

 

 

3번은 상경용천부 도성안에 있는

 

9번째 사찰터에서 발견된 녹유귀면와!

 

 

 

( 9번째 사찰터 사실상 공식명칭은 )

 

( 발해 상경성 9절터 라고 한답니다. )

 

 

발해 녹유 귀면와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발해 상경용천부 도성내에 있었던

 

9번째 절터 귀면와는 국립중앙박물관

 

발해 전시관에서 , 복원해서 전시중 입니다.

 

 

 

 

이 파편은 발해 상경용천부

 

궁궐터에서 발견한 녹유귀면

 

파편입니다. 발해 녹유귀면은...

 

 

발해 상경용천부 궁궐안 여기저기서

 

되게 많이 발견되었다고는 하는데요,

 

온전한 모양이 발견된건 없는듯 하네요.

 

 

중국 흑룡강성 발해상경유지박물관에서 복원한 발해 녹유귀면와

 

 

윗쪽의 귀면와 파편을

 

궁궐 여기저기서 발견된...

 

 

녹유 귀면와들 파편을 분석하여

 

발해상경유지 박물관에서 직접

 

복원한 모습 입니다.

 

 

 

 

발해 중경현덕부에서 발견된

 

녹유 귀면와및 녹유기와들 입니다.

 

 

 

중경현덕부는 자세한 위치를 모릅니다만

 

이 장소가 그나마 유력한 곳이라고 합니다.

 

 

 

발해 서고성 = 중경현덕부

 

라고 아직까지는 유추한답니다.

 

 

 

여튼 발해 서고성 궁궐터에서

 

녹유 귀면와 / 치미 / 이수 추정 녹유용두

 

등등 다양하게 출토되었습니다. 

 

 



상경성 9번째 사찰 대웅전터


공식 명칭이 이렇습니다.


[ 발해 상경용천부 9절터 금당터 ]


대웅전을 통일신라까지는

금당이라고 불렀습니다!

 

 

 

하여튼 9번째 사찰터 귀면와를

 

기준으로 복원하여, 맞배지붕

 

건축물에 적용하면 이런모습.

 

 

 

녹유 귀면와를 왜 이렇게 적용했느냐!

 

라고 하면 일본에 비슷한게 있어서

 

그 방식을 참조하여 적용했습니다.





발해 녹유 귀면와는 내림마루나

추녀마루에 설치된 것으로 예상하며...

 



설치법은 일본 뵤도인 호오도 ( 1053년 )

건축물에서 그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 뵤도인 호오도 = 평등원 봉황당 





그래서 이런식으로 , 내림마루나

추녀마루에 사용했을 것 입니다.



만약 팔작지붕이나 우진각 지붕일 경우는

추녀마루까지 설치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필자가 재현 / 복원한 발해 맞배지붕 건축물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고구려 정릉사 중문터

사이즈를 토대로 재현 , 복원했습니다.


 


또한 서까래 / 포작및

 

건축가구 양식은 발해 석등을

 

참조해서 만들었습니다.

 

 

그 외에 각종 발해 사찰터와
 
궁궐터에서 출토된 각종 기와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만들어봤습니다.

 

 

 



#발해기와

 

#발해치미 #발해유물

#발해 특이한 유물

#발해 특이한 기와

#발해 멋있는 유물

#발해 복원

#발해 건축 복원및 재현

 



반응형
반응형

 

 

 

발해 녹유 암키와 입니다.

 

속초 시립박물관에서 중국쪽에서

 

구매해서 수장고에 가지고 있는...

 

 

 

녹유암키와 같습니다.

 

발해 녹유 기와는 만주쪽에서 주로

 

발견되서 중국에서 사온거 같네요.

 

 

 

아무튼 발해 암키와이며

 

특이하게 녹유 암키와 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 또한 암키와로

 

추정되는 발해 녹유와를 소장

 

하고 있습니다.

 

 

 

하여튼 ...

 

 

 

유약을 입혀 구운 암키와 이므로

 

용마루 , 내림마루 , 추녀마루용

 

암마룻장 으로 사용했을 것 입니다.

 

 

 

서울대 소장 발해 수키와 - 사진출저 : https://blog.naver.com/abcblove/50072984215

 

 

녹유 수키와 입니다

 

발해 상경성 춭토 추정

 

발해 수키와 인데요.

 

 

 

서울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수키와 연결부위가 온전히 남아 있어서

 

용마루 , 내림마루 ,추녀마루용 숫마룻장

 

으로 사용했을겁니다.

 

 

 

중국 흑룡강성에 있는

 

발해상경유지박물관 소장

 

녹유 수키와 입니다.

 

 

이 녹유 수키와는 상경용천부

 

궁궐터에서 출토되었다고 합니다.

 

 

중국 흑룡강성 발해상경유지 박물관 소장 발해수키와

 

 

 

위에서도 적었지만 녹유 수키와는

 

특수 기와이며, 유약에 구리 계열

 

안료를 발라서 구운 기와입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초록색 인데요,

 

상태에 따라서 청녹색이나.....

 

 

 

살짝 누런빛이 섞인 초록색으로

 

변하는등, 색의 톤이 약간 다양합니다.

 

 

발해는 녹유수키와, 암키와가 전부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런 색감의 기와지붕을 사용했을것이다.

 

 

 

 

발해는 녹유 수키와 + 녹유 암키와

 

둘다 완벽하게 출토가 되었으므로...

 

 

 

발해 건축물은 제가 만든 건물처럼

 

기와지붕을 녹유와로 꾸몄을겁니다.

 

 

 

 

제가 복원 / 재현한 발해 맞배지붕 건축물은

 

사정상 고구려 정릉사 중문터 평면도를

 

기반으로 만들었습니다.

 

 

 

( 정릉사 중문 : 정면 15m x 측면 8 m )

 

 

 

삼국시대 ~ 통일신라 시대 중문은

 

일반적으로 정면3칸 , 측면 2칸이

 

일반적인 양식입니다.

 

 

 

그래서 제가 만든 발해 맞배지붕 건물은

 

정면 3칸, 측면2칸으로 재현한 것 입니다!

 

또한 여러가지 기와들을 적용하였습니다.

 

 

 

#발해기와

 

#발해치미 #발해유물

#발해 특이한 유물

#발해 특이한 기와

#발해 멋있는 유물

#발해 복원

#발해 건축 복원및 재현

 

 

 

 

 

 

 

반응형
반응형

 

 


발해 녹유 치미

 



발해 상경용천부 내부에 위치한

9번째 사찰터에서 발견된 치미에요.

( 공식명칭은 발해 상경성 9절터 라고함 )



유약을 발라서 구워낸 녹유치미 입니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발해 녹유치미를 실제로 건축물에

 

적용한다면 이런 느낌 입니다.

 

 


필자가 복원한 발해 건축물은

맞배지붕으로 복원 / 재현해봤어요.



평면도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고구려 정릉사 중문터 사이즈를

토대로 재현 , 복원했습니다.

 

 

( 조금만 양해 부탁드립니다...!! )



 


삼국시대때 중문은 보통

정면3칸 , 측면2칸이 평균 이라는

 

점에 입각해서 3칸 중문으로 만들었으며,

 

 

 

기단은 상경용천부 현무암

 

기단을 참조해서 만들었습니다.

 

 

상경용천부 성벽. 현무암이다.

 

 

 

상경용천부는 건물터부터

 

성벽까지 현무암으로 구성된

 

성벽과 기단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재현해본 발해건축물

 

기단과 외벽은 현무암으로 구성했답니다.

 

 

발해 석등은 건축물을 모방해서 만들었다. 각서까래 / 납도리 [ 사각 주심도리 ] / 소첨차 한개만 사용한 단순한 건물을 표현했다.

 

 

 

발해 맞배지붕 건축물의

각서까래 / 포작은 일단

발해 석등을 참조해서 만들었습니다.



* 포작 : 포크처럼 생긴 첨차로 지붕을 받쳐주는 시스템

* 각서까래 : 네모 서까래. 사각 서까래인데 보통 각서까래 라고 부름

 

 

 

 

그 외에 각종 발해 사찰터와

 

궁궐터에서 출토된 각종 기와들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만들어봤습니다.

 


#발해기와

 

#발해치미 #발해유물

#발해 특이한 유물

#발해 특이한 기와

#발해 멋있는 유물

#발해 복원

#발해 건축 복원및 재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