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버전을

 

만들어 보려고 나름 연구하다보니,

 

 

 

연구진들이 마음먹고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단청을

 

연구하면,

 

 

 

매우 좋은 결과가 있을것 같고

 

진짜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색감도 알아낼 수 있을것 같아서,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버전

 

복원은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 전문 연구진들의 연구가 있을때 까지요 ~! )

 

 

 

대신~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단청을

 

일단 제가 연구한 만큼만

 

대략적으로 그려서~

 

 

 

기존에 있던 팔작지붕

 

건물에 적용시켜봤습니다.

 

 

 

샘플로 보려고

 

적당히 만들었지만...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 느낌을

 

보는데에 문제 없다고

 

생각해서 올립니다.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은

 

거의다 지워진 상태라서,

 

 

수덕사 대웅전 16세기 단청을

 

필두로, 제 나름대로 연구하며

 

그려봤습니다.

 

 

일단은 하얀색 벽에

 

적용을 해봤습니다.

 

 

왜 처음에는

 

하얀색벽을

 

적용했느냐~!

 

 

 

많은 사람들이 하얀색벽은

 

고려, 조선때는 아예 사용하지

 

않은걸로 많이들 생각하시는데요!

 

 

하얀색 벽은 조선시대때

 

정~~~~~~말 주구장창 사용해서

 

전혀 문제될것이 없어서 적용했습니다.

 

그리고 흑칠 기둥과

 

석간주 적갈색 문인방들을

 

구성해봤습니다.

 

 

보통 흑칠하면

 

전체를 전부다 흑칠!

 

이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남아있는 거의 모든 자료에서

 

흑칠기둥+조선시대 적갈색 콤비

 

이런식으로 채색되어 있습니다.

 

 

만일~

 

 

기둥 흑칠을 적용한다면

 

적갈색을 적당히 혼합하여

 

적용하는게 고증에 부합합니다.

 

 

 

근접해서 보면 이런느낌 입니다.

 

뭔가 조선시대 같은데 조선시대

 

같지 않은 느낌이죠?

 

 

제 느낌상 조선시대 단청보다

 

뭐랄까 훨씬 차분하고

 

고급지다고 해야되나?

 

 

적당히 무게감 있고

 

파랑, 붉은색의 포인트를 잘 살려서

 

고급스러운 느낌이 많이 드는것 같아요.

 


이번에는 가장 일반적인

 

노랑색 벽을 사용해봤습니다.

 

노랑색 벽은 이런 느낌입니다.

 

그런데 단청 색상이

 

조선시대와 전~~~~~~~혀 다른!

 

 

짙은 회색빛이죠?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단청 색상은 임천 선생님의

 

모사도 색상 그대로 적용했습니다.

 

 

 

 

 

 

 

임천 선생님의 모사도는

 

너무 오래됬고, 사진마다

 

단청마다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보고서 보신 분들 대부분은

 

임천 모사도는 진짜 색이 아니다!

 

라고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임천 선생님 모사본을

 

그대로 사용했는데요~!

 

이유가 있습니다!

 

 

 

이유는 이런데요~! 육색( 살색 )이 특히~

 

수덕사 보고서에 있는 실사 사진과

 

거의 똑같은 색감이라는 점,

 

 

그리고 나름대로

 

회색이라 판단되는것이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에 실제로 보이며,

 

 

중국쪽 단청 자료하고

 

색상이 정확하게 교차검증이

 

된다는 점 입니다.

 

 

단청 색상들이 너무 진해서

 

그냥 사진을 잘못 찍은거 아니야?

 

라고 하기에는...

 


나름 실사 자료들과

 

교차검증이 되고~

 

 

특히 육색이 임천 모사도와

 

실사진과 밝기만 조금

 

차이나고, 거의 똑같습니다!

 

 

( 수덕사 단청 재현 보고서 비교샷 )


* 참고로 고려시대 단청 윗쪽에 16세기 조선시대 단청이 덧발라져
서로 겹쳐있습니다. 그래서 색상, 무늬를 제대로 확인하기 쉽지 않습니다 *

 

 

 

 

 

그래서 저 또한 임천 선생님의

 

모사도가 색이 너무나 진하고

 

어두워서...

 

 

이게 진짜 맞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계속

 

사진들 보면서 나름 연구하다보니,

 

 

임천 선생님의 고려시대 단청

 

모사도가 실제와 같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했고,

 

 

단청 색깔도 아주 정확히

 

표현한 것으로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되도록 임천 선생님의

 

고려시대 단청 모사도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일반적인 조선시대 궁궐 단청

 

 

수덕사 대웅전 출토 고려시대 단청 - 색상은 추정
명나라 단청

 


이렇게 생각한 가장 큰 이유 두번째!

 

명나라 단청의 계풍을 보세요!

 

 

일반적인 녹색이 아니라

 

뭔가 짙은 회색 입니다!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은 1300년대로

 

예측을 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슷한 시기의

 

명나라는 임천 선생님의

 

모사도하고 상당히 비슷한~!

 

 

초록색이 아닌 매우 짙은

 

회색계열의 색상을 사용했습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조선시대

 

단청은 2빛을 주로 사용하는데,

 

 

 

수덕사 출토 고려시대 단청은

 

명나라와 같은 3빛을 사용합니다.

 

그라데이션 빛 또한 명나라와 교차검증 성공!

 

 

 

이런 이유 때문에


실사 자료가 전부다

 

퇴색되서 알기 힘든 상황에서...

 


임천 선생님 모사도가

 

색이 굉장히 어둡고 진해도,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저는 나름 신빙성 있고

 

정확한 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사실 회색과 녹색들이

 

실제로는 훨씬 밝은색일

 

가능성도 상당히 많습니다.

 


임천 선생님 모사도와 다르게

 

수덕사 대웅전 고려시대 단청을

 

자세히 관찰해보면,

 

 

하중도리 배경색 부분은

 

매우 밝은 회색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

 

 

조선시대는 마냥 초록색만

 

사용할거라 생각하시지만!

 


완전한 회색은 아니지만...

 

다른곳도 아닌 창경궁 문정전에

 

이 회색 단청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회색은 아니고...

 

약간 하늘색 뇌록이 색이

 

빠져서 회색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창호문은

 

직접가서 확인해 보셔도

 

아시겠지만~!

 

 

 

녹색이 아~~~쥬 쬐끔 섞인!

 

회색이 맞습니다! ( 뇌록이지만요 )

 

 

그러나 조선시대 왕궁에

 

전승되는 회색빛 뇌록 같은 경우는

 

명나라보다 몇배는 밝은색 입니다.

 

그래서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

 

실제 계풍 뇌록은 사실 밝은

 

회색빛일 가능성도 존재 합니다.

 

 

하중도리에 남아있는 색상이

 

밝은색이고, 조선 궁궐에 전승된

 

회색빛 뇌록도 많이 밝은색 입니다.

 

 

 

아무튼,

 

임천 모사도는 2020년

 

지금의 시각으로 보면, 틀렸습니다.

 

 

 

왜 틀렸냐면,

 

 

지금과는 다르게 굉장히 색이

 

어둡고 진하기 때문입니다.

 

 

현대 시각으로는

 

정답이 아닙니다만,

 

 

 

고려시대 시각으로 본다면

 

임천 선생님 모사도가

 

정답일수도 있습니다.

 

 

 

일반 조선시대와 다른

 

3빛 그라데이션 기법 이라던가,

 

 

 

일반 조선시대 단청과 다른

 

특이한 방식의 머리초 방식,

 

 

색깔 또한 명나라 단청하고

 

일치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저보다 실사자료를 더 확실히 접할 수

 

있는 전문 연구진들의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부분 입니다!

 

수덕사 출토 고려시대 단청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상록하단 전통건축물
조선시대 궁궐 단청. 같은 단청도 이렇게 색상이 다릅니다!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이 만일

 

임천 선생님 모사도와 색감이

 

정확하게 일치한다면,

 

 

우리나라 전통 건축, 특히 단청부가

 

일진보 할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고려후기 부터는

 

상록하단을 더욱!!!!!

 

 

미친듯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서

 

건물 대부분이 초록색이었다!!!!!!!!

 

 


라는 기존의 학설을...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이 확실하게

 

바꿔버릴 수 있는 상황 입니다.

 

여러모로 말이에요.

 

고려시대는 초록색만 칠한

 

단청, 당연히 있었다고

 

보시면 됩니다만!

 

 

오로지 초록색 범벅 만땅칠 단청만

 

있던게 절~~~~~~~~대 아니라는 것이죠~!!!

 

 

그 중요한 사실을

 

수덕사 대웅전으로 인하여

 

확인될 수 있는 상황인 것 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임천 모사도가 만일 답이 아니더라도,

 

제가 만든 작품 색감은 진짜라고

 

믿으셔도 괜찮습니다.

 

 

전통 안료 단청에

 

동유 기름을 인두로 지져서

 

기름칠을 한 단청으로 생각해주세요.

 

 

동유기름 인두질 해서 칠하면

 

전통 뇌록같은 경우 굉장히

 

어둡고 짙은 회색이 됩니다.

 

 

그거보단 색이 밝지만...

 

지금보신 제 작품을 그냥

 

동유기름 인두질 단청으로 보시면~

 

 

색감은 나름 밝지만 정상참작

 

가능한 상황입니다~! 

 

 

 

숭례문을 가보시면 실제 동유칠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동유칠이 탈색되고 박락되면

 

제가 복원한것 같은,

 

 

초록색 보다는 짙은 회색빛을

 

보여주는 색상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시답니다~!

 

 

 

수덕사 출토 16세기 조선시대 단청을 적용하면, 이런 느낌 입니다. 샘플이라 완벽하진 않습니다.

 

조선시대 초기 단청 또한

 

상록하단이 아닙니다.

 


이거 보고 상록하단이라고 하면

 

그 사람 눈이 이상한게 맞습니다!!!!!!!

 


수덕사 조선시대 단청은

 

아예 상백하단~!

 

 

이라고 말해도 될 정도로

 

희뿌연 색상들이 주류 입니다.

 

 

 

희뿌연 색깔과 하늘색이

 

거의 주된 색상으로써,

 

 


지금의 조선시대하고

 

색상 느낌이 꽤 다른편이죠.

 

 

 

이 단청은 원나라 단청하고

 

나름 색상이 비슷합니다.

 

 

 

즉 이런 추측이 가능합니다.

 

임진왜란 이전, 조선초기 단청을 고려시대 건물에 적용했어요.

수덕사 출토 임란이전 단청과, 각종 조선시대 단청을 수덕사 단청색으로 바꿔서 적용하면 이런 모습!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시대 단청도

 

일반적인 초록색만 사용한 단청이 아니고,

 

 

 

하물며 조선시대 16세기 단청도

 

상백하단 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희뿌연 색이 주류 입니다.

 

 

그런데 이 색감은 원나라 단청 하고

 

나름 상당히 비슷합니다.

 

 

즉!

 

 


수덕사 대웅전은

 

실제 고려시대 단청만

 

보유하고 있는것이 아닙니다!

 

 


원나라에서 유입된 백색 위주의

 

단청이 고려시대때 있었을 것이다!

 

라는 추측을 가능케 해주는~

 

 

 

단청 발전사의 한축을 담당하는

 

독특한 색감의 희뿌연 단청같은...

 

연결고리 단청까지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말선초쯤 우리나라는

 

무조건적 초록색 단청이

 

아닌, 전체적으로는 밝고 푸르지만~

 

 

 

백색, 하늘색, 짙은회색 등등

 

다양한 색감의 단청을 사용했다!


라는 유추를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수덕사 대웅전은

 

고려 후기 있었을법한 단청까지

 

유추 가능하게 해주는 정말 중요한 사찰 입니다!

 


###########################################

 

 

수덕사 고려시대 단청은 거의

 

전부 퇴색된 상태나 다름없어서,

 

 

아주 자세한 정밀한 내용까지

 

개인은 사실 알 수가 없습니다.

 

 

이 이상 자세한 내용은 실사 자료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실제 연구단이

 

할 수 있는 일 입니다.

 

 

 

그러니 연구진들의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 지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단청 색상에 대해서 의견이

 

있으시다면, 댓글 달아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 게시물은 한달후에 다른

 

게시물로 변경할 것이고,

 


이 모든 내용들은 추후

 

다른 게시물에 다시 올리겠습니다~!

 

 

 

광고도 한번씩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 드리겠습니다!

 

 

 

 

 

 

 

###################### 11줄 요약 ######################

 

- 수덕사 대웅전 내부에

 

고려시대 단청이 조금 남아있다.

 

 

- 이걸 임천 선생님이 모사했다.

 

 

- 그런데 모사도가 너무 색이 진하고 어둡다.

 

 

- 그래서 모사도 색깔이 틀린것으로 알려져있다.

 

 

- 그러나 외국자료와 색감이 여러모로 교차검증 된다.

 

 

- 단청 방식도 그라데이션을 3컬러로 쓰는데다

 

단청모양 자체가 조선시대와 꽤나 다르다.

 

 

-  이런 사실들로 인하여 임천

 

모사도가 정답일 확률이 있다.

 

 

- 그리고 수덕사 단청은 조선시대

 

단청마저 원나라 시절과 꽤나 흡사하다.

 

 

- 즉, 수덕사 단청으로 인해 여말여초 쯤 단청은

 

초록색만 사용했다는 기존의 가설이 바뀔 가능성이 있다.

 

 

- 연구자들의 깊은 연구로 기존의

 

가설이 바뀔수 있는 상황이다.

 

 

- 기존의 여말선초 단청은

 

거의 대다수가 원나라로 인하여

 

초록색or 푸른색만 사용했다! 에서~

 

 

여말선초 단청은 희뿌연 색, 어두운 짙은색 등등

 

지금보다 월등히 다채로운 색감의 단청이 존재했다!

 

라는 내용으로 바뀔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