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 얘들아?

 

고구려 건축물을 복원해봤어.

 

이런 저런 자료들로 복원했는데 재밌게 봐줘!

 

 

 

 

1. 고구려 건축의 여러가지 특징을 모은 고구려 건축 복원및 재현

 

 

 

 

이건 연단칠 단청으로 꾸민

 

고구려 맞배지붕 건물이야.

 

단청이 꽤 특이하지?

 

 

 

 

사용된 단청들을 우리 한번

 

알아볼까!? 한번 보자꾸나!

 

안악 1호분의 단청

 

 

 

건물의 사람인 人

 

이 장식 아랫쪽을 안악 1호분

 

이 단청으로 꾸몄어.

 

 

 

 

신기하지? 이런식으로 고구려 고분의

 

단청을 적용하면 이런 느낌이 나!

 

 

 

 

사진으로 보면 되게 단순해 보이는데

 

적용하면 의외로 꽤 괜찮다구.

 

 

쌍영총 단청

 

 

 

서까래를 받쳐주는 부분은

 

바로 이 단청을 사용했어.

 

 

 

 

이 단청은 고분군에서 대략

 

서까래를 받쳐주는 주심도리

 

이쪽에 채색 되어 있어서 적용해봤음.

 

 

 

 

두번째 건물은 솔직하게

 

북한단청을 한번 적용해봣어.

 

 

 

 

북한의 어떤 건축에서 이 단청을

 

적용해 봤느냐 하면 바로 여기임...

 

 

 

여기에 있는 단청을 사용해본건데

 

사실 고증에는 좀 맞지 않지만...

 

 

 

다음 시간에 북한의

 

고구려 단청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일단 만들어봤음.

 

 

 

짧게 설명하자면 북한 저 단청 색상을

 

지들 마음대로 채색함. 색상이 많이 다름...

 

 

 

특히 살색, 핑크색을 너무 많이

 

사용했고 덩쿨무늬 색상이

 

실제하고 색상이 다름.

 

 

 

그래도 단청 무늬는 고증이 맞긴 함!

 

이거는 다음 게시물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

 

 

 

 

세번째 건물은

 

수산리 고분의 단청을 적용한 건물이야.

 

수산리 고분이 어디냐고? 바로 여기야!

 

 

고구려 수산리 고분군 내부 단청의 상태.

 

 

 

내가 그린 단청을 자세히 살펴보면

 

바로 이 단청을 그대로 사용했다는걸

 

알 수 있을꺼야. 어때 신기하지!?

 

 

 

 

그리고 기둥 색상은

 

석간주 안료를 사용했지.

 

 

 

 

안료에 대해서는 아랫쪽에서

 

다룰태니 조금만 기다려주셈!!

 

 

 

 

고구려에 수정궁이 있었다는 말 들어본적 있니?

 

그래서 수정으로 건물을 만들어봤어...

 

 

 

 

다만 수정궁은 사실은

 

상상에 가까운 기록이야.

 

 

 

 

정확한 역사에 대한 기록이 아니야.

 

그래서 사실은 상상속의 뭐.....그런거임.....

 

 

 

 

그래서 그냥 수정으로 건물 만들면 무슨 느낌?

 

이거 느껴보라고 만들어봤어. 그니까

 

수정 건축물은 재미로만 봐주셈!!

 

 

 

가끔 발견되는 저품질 갈색기와를 적용해본 모습

 

 

 

 

고구려에서 드물게 갈색기와

 

이런거도 발견되. 그래서 적용해봤어.

 

 

왼쪽이 철성분이 많고 제대로 구운 경우, 오른쪽이 철성분이 덜 있고 덜 구워진 경우.

 

 

 

물론 갈색기와는 솔직하게 말할게!

 

갈색기와는 주황색기와 만드는 도중에

 

몇개씩 나오는 뭐 그런거야.

 

 

 

 

원리는 많이 단순해!

 

제대로 된 온도로 만들어진게 아닌...

 

 

 

 

좀 대충 만들어진

 

저품질 기와라고 보면 됌.

 

 

 

 

그래도 여튼 갈색 기와도 출토 되니까

 

재미삼아 한번 보자고 이렇게 만들어봤어.

 

 

 

 

 

나름 출토품으로 만든거지만 사실 엄청난

 

고증은 아닌것이지...허허. 재미로 봐주셈!

 

 

 

 

실제로는 이렇게 주황색 기와가 주류야.

 

고구려 기와는 거의 주황색이 대부분이야.

 

 

간헐적으로 적갈색이나 , 밝은 홍색 기와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적은량이 발견이 되고...

 

일반적으로는 주황색 기와가 대다수야.

 

 

 

 

이렇게 주황색 기와가 주류야.

 

근데 대체적으로는 주황색이 대다수!

 

 

 

이렇게 대다수가 주황색의 띄고 있어!

그래서 고구려 기와지붕 색상은 보통

주황색에 가깝다고 보면 되.

 

 

그래서 기와지붕은 되도록이면

 

주황색으로 설치하는게 고증에 맞음...

 

 

 

 

고구려는 진짜 이상한 점이 있다!

 

이거 알어!?

 

 

 

 

고구려는 이상하게 제대로 된 기단이

 

남아있지 않아. 진짜 희안하게도 말이지...

 

 

 

 

건축물하면 기단이 있어야 되잖아?

 

근데 고구려는 기단이 진짜 정말로

 

희안하다 싶을 정도로 안남아있음...

 

 

 

 

그래서 이번 작품에서는 장군총의

 

장대석 기단을 공격적으로 적용해봤음...

 

 

 

물론 기단이 아예 없는건 아니고

 

아주 부분 부분 쬐~끔...남아있거든...?

 

 

 

 

그 부분부분 남아있는 심초석

 

혹은 기단석 등등을 살펴보면...

 

 

 

 

그냥 화강암이나 자연석으로

 

기단을 꾸몄을 가능성도 크다구!

 

그래서 이 건물은 자연석 기단으로 꾸며봤음.

 

 

 

그리고 용마루랑 지붕마루를

 

금색 기와로 만들어 봤었는데...!

 

이건 수산리 고분 때문에 그래.

 

 

 

 

수산리 고분의 벽화를 보면 용마루가

 

흰색인가 누런색이거든?

 

 

 

 

근데 백제에서는 실제 금빛의 청동기와로

 

추녀 끝부분을 막는 기와가 나왔단 말이지?

 

 

 

 

그래서 수산리 고분의 흰색인지.....

 

누렁색인지 여튼 용마루가 구리기와,

 

동기와일 가능성도 아예 없지는 않다고 생각해.

 

 

수산리 고분군의 단청. 가운데 건물의 지붕을 잘 보면. 기와는 검정색 / 지붕마루는 금빛 or 흰색이다.

 

 

 

 

봐바! 그치?

 

 

용마루랑 내림마루 색깔이 누런색이야...

 

여튼 색이 일반 기와가 아니야!

 

 

 

여튼 용마루가 이런 색이었으니까.....

 

한번 궁금해서 적용해봤음.

 

 

 

이거 보는 사람들이 이런 사실도

 

알았으면 좋겠어서 적용해봤음.

 

 

 

사람들이 이런 용마루 색상에 대해서 왈가왈부해야

 

학자들이 더 열심히 연구할꺼 아니야!?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백제 청동 귀면와 ( 백제 동제 귀면와 )

 

 

백제 건물터에서 출토된 청동으로 만든

 

귀면와. 자세히 보면 실제로 금색이야.

 

 

 

 

저 용마루가 금칠은 아닐지언정...

 

금빛의 구리기와 ( 동기와 )

 

가능성이 있다는게...

 

 

 

 

이렇게 삼국시대 백제는 실제로

 

금빛의 기와를 만들어서 사용했으니...

 

혹시 또 모르지. 고구려도...??

 

 

 

아무튼... 학자님들 제발

 

수산리고분의 누런색 용마루에

 

대해서 정확하게 연구해주셈!!!

 

 

고구려 임강총에서 출토된 흑색 일반기와.

 

 

 

아 참고로 고구려는 이렇게

일반적인 흑색 기와도 발견되.

이 기와는 집안쪽이었나...?


그쪽에 있는 임강총

 

고분에서 발견된 기와야.

 

 


그래서 고구려 지붕은 일반적인 흑색 기와를

사용해서 복원해도 크게 문제되지 않아!

 

 

 

그리고 창문은 초록색을 칠해봤어.

 

고구려는 초록색 창문을 사용했다는 증거?

 

정확하게는 아예 없음.

 

 

 

사실 고구려의 창문이 초록색인건

 

정상참작 / 심증적으로만 가능해.

 

 

 

 

왜냐면 고분벽화에 초록색

 

창문이 나온적은 단 한번도 없어서 그래!

 

 

 

 

다만 왜 정상참작/

 

심증적으로 추측해서

 

적용이 가능하느냐 하면...

 

 

 

바로 이 자료 때문이야.

 

둔황석굴 61굴의 삼국시대

 

사람들을 그린 자료 때문이지...!

 

 

 

이 그림은 중국자료인데

 

비교적 괜찮게 고구려 / 신라 사람들의

 

복식을 그렸다고 그러더라구.

 

 

 

그리고 여튼 삼국시대 고구려 / 신라인의

 

그림을 그린거라...건물도 삼국의 건물이 아닐까!?

 

 

 

 

라고 예상할 수 있데.

 

여튼 중국쪽에 삼국시대 사람들

 

그림이 있어서 그런거도 있고...

 

 

 

 

중국은 당나라쯤 되면 벽화에

 

초록색 창문이 엄청 많이 나오거든?

 

 

 

 

 

근데 고구려도 하여튼간에

 

중국쪽이랑 계속 교류도 하고 그래서...

 

창문도 초록색으로 변했을수도 있어서...

 

 

 

 

이런 저런 자료들이 꽤 있어서.

 

그래서 초록색 창문을 적용해봤음.

 

 

 

그러나 국내 자료로 보자면

 

정확하게는 붉은 창문이 더 고증에 맞음.

 

 

 

 

고구려는 창문을 고분에 그린게 진짜

 

손에 꼽는데, 그나마 확인하기 쉬운

 

그림도 일단은 붉은색 창틀임...

 

 

게다가 조선시대 궁궐은

 

창문 색깔을 두가지 모두 사용중...

 

 

 

그래서 붉은색 창문이 고증에는

 

조금 더 맞다고 생각하지만!

 

 

 

초록색 창문도 나름대로 뭐 정상참작하여

 

적용 할 정도는 된다고 볼수도 있어...

 

 

 

장군총의 장대석 기단을 마구사용해봤어.

 

아 그리고 지붕 장식이 특이하지?

 

 

 

 

지붕의 연꽃장식 + 불꽃 장식은

 

쌍영총 벽화에 그려져 있더라고.

 

 

 

 

그래서 한번 적용해봤어.

 

고구려 고분벽화가 나름대로

 

그 시절의 문화를 제대로 담고 있는데...

 

 

 

 

 

건물에 치미대신 연꽃과 불꽃 장식을 사용했단 말이지!?

 

그래서 실제로도 저런 장식이 있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어서 적용해본거야!

 

 

 

 

 

아마 평양을 제대로 발굴하면 연꽃모양의

 

기와 장식이 발견되지 않을까?! 싶음.

 

 

 

고구려 건물에는 벽화도 그려져있었을

 

가능성도 크다구! 호류지를 보면 알겠지만

 

내부에 벽화가 그려져 있잖아?

 

 

 

 

그래서 고구려도

 

건물 내부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었을

 

가능성도 크다고 생각해. 그리고 또 혹시 모르지...

 

 

 

 

 

건물 외부도 뭐 벽화가 그려졌을지도...??

 

인면조로 대충 적용해봤으셈!

 

 

 

 

 

 

 

*  참고사항 *

 

 

 

내가 재현한 고구려 건축물은

 

실제 건축 유물들을 최대한 그대로 만들어서...

 

 

 

복원및 재현을 하고 있어!

 

바로 이런식으로 말이지.

 

실제로 고구려 사찰인

 

평양 청암리사지 ( 전 금강사 터 )

 

여기서 말굴된 지붕마루 귀면와 기와하고,

 

 

 

 

고구려 안학궁에서 출토됬다고

 

일단은 북한이 열나게 주장중인

 

고구려 치미를 실제로 적용하고 있다구!

 

 

 

 

그런데 내가 복원및 재현한 건물들을

 

계속 보다보면 분명히 의문이 생겼을꺼야.

 

 

 

 

 

실제로는 윗쪽의 귀면와가 출토되었는데

 

내가 복원한 건축물들은 조금 다른 장식을

 

설치하고 있지?

 

 

 

 

아래 사진처럼 말이지... 나는

 

지붕 마루에 이상한 뿔같은 장식을

 

설치했지. 바로 이런식으로.

 

 

지붕마루 뿔장식은 의외로 고증이 되는 장식이다.

 

 

 

 

치미말고 지붕 내림마루들에

 

뿔장식 같은걸 설치했잖아?

 

 

 

 

 

이거보고 또...

 

왜 중국꺼 따라하냐 ㅅㅂ 그러는

 

사람들도 있거든!? 아래 사진을 보라구!

 

 

 

 

지붕 내림마루 뿔 장식은 의외로

 

고구려 고분벽화 건물 그림에서

 

계속 보이는 양식이야!

 

 

 

 

내가 복원및 재현한 건물은 이 그림을

 

토대로 보이는대로 만든거니까 반드시

 

알아두셈!

 

 

 

 

 

2. 고구려의 붉은색 단청! 흰벽에 붉은색 주칠단청에 대해서

 

 

 

 

 

 

간혹 사람들이 이런 말들을 하지.

 

고구려 단청은 흰벽에 붉은색이다!

 

흰벽에 주칠단청으로 건물을 복원해라!

 

 

 

 

막 이러는거 너네들 자주 봤지!?

 

이 주장이 사실 맞아. 고증에 맞거든.

 

 

 

 

근데 윗쪽의 스샷들을 보면 알겠지?

 

 

 

 

고구려는 고사리 무늬에 붉은색도

 

다양하게 섞어서 무늬있는 단청을

 

즐겨 사용했었어!

 

 

 

 

그러므로 고구려 단청은 2가지의

 

종류가 있었다고 생각하면 되.

 

 

흰벽에 각종 덩쿨무늬 단청 /

 

이렇게 다양한 붉은색으로 덩쿨무늬

 

그리고 꽃을 잔뜩 그린... 대략적으로

 

 

 

지금 현대의 기준으로 보자면

 

대략... 금단청 같은게 있었지.

 

당시 최고의 단청이었고.

 

 

 

 

흰벽에 붉은색만 칠한 단순 단청 /

 

흰벽에 붉은색 한종류만 칠한

 

초단순한 단청.

 

 

 

지금 현대의 기준으로 보자면

 

가칠단청. 안료 구하기 쉬워서

 

가장 많이 애용된 단청이라고 보면됨.

 

 

 

 

여튼 뭐... 종류가 많긴한데 큰틀에서는

 

이렇게 두 종류가 있었다고 보면 됨.

 

 

 

 

 

그런데 나는 궁금해.

 

흰벽에 주칠을 하는게 고구려의 단청이니까

 

이렇게 복원해라! 라고 하는 사람들중에...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정확하고

 

제대로 된 자료를 가지고 이런 주장을 할까!?

 

라고 말이지?

 

 

 

 

그래서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흰벽에 붉은칠이 맞다! 이 주장에 대한

 

자료들을 하나씩 살펴보자구!

 

 

 

무용총은 이런식으로 건물의 기둥과 보를 흰벽에 그려놨다.

 

 

일단 내가 저 주장이 고증에 맞다고 했지?

 

그 주장이 맞다고 한건 이런거야.

 

실제로 자료가 많아!

 

 

 

 

많은 고구려의 고분들이 저렇게 흰색으로

 

회칠을 해서 벽을 칠한 다음에,

 

 

 

 

그 위에다가 건축물 기둥, 보 계열의

 

자재들을 그렸어. 또한 거의 다 붉은색이야.

 

혹은 고사리무늬 단청이거나.

 

 

 

 

그니까 그냥 흰벽에 빨강 기둥과 보.

 

이게 그냥 고분에서 되게 자주 보여.

 

 

 

무용총 내부 모습. 흰벽에 붉은색 기둥과 보가 보인다.

 

 

 

만보정 고분 / 각저총 / 무용총 등등....

 

그다지 안알려진 고분부터 해서 엄청 유명한

 

고분들까지, 저런식으로 엄청 많이 발견돼.

 

 

약수리 고분의 보와 기둥, 브라켓 그림. 붉은색으로 그렸고 벽은 흰색이다.

 

 

 

이런식으로 기둥과 받침대, 보 모양의

 

프레임들이 엄청 많이, 자주 발견돼.

 

거기다가 하나같이 흰색벽이지!

 

 

 

 

그래서 고구려는 붉은색 안료에 흰색벽

 

단청이 고증에 맞기는 맞음.

 

 

 

각저총 고분. 회칠한 벽에 붉은색 주토로 기둥과 보를 표현했다. 흰벽에 붉은목재는 정말 흔하다.

 

 

 

그리고 사실 붉은색 안료는 그냥

 

땅파면 나오는거라......

 

 

 

 

솔직히 그나마 가장 저렴한

 

안료이기도 해서..... 어찌보면...

 

 

 

 

 

흰벽에 붉은 단청은

 

사실은 흔한게 당연한거야!!!

 

그 당시에는 흙에서 채취 가능한 가장 저렴한 안료였으니까...!

 

 

팔청리 고분의 주칠에 흰벽 건물 그림

 

 

팔청리 고분군에서는 아예

 

주황색 지붕에 붉은색 단청을 칠한

 

건물 그림까지 있다구!

 

 

 

 

게다가 또 흰벽이야!

 

이 정도면 뭐 자료가 넘쳐나지??

 

 

 

 

블로그에는 가장 확실한 자료들만 올려서 그렇지

 

이런 자료들 생각보다 되게 많음.....

 

 

그리고!

 

 

 

실제로 이런 흰벽에 붉은칠 단청은

 

조선의 종묘 / 각종 정자 / 향교 건축에서

 

아직까지도 사용되는 단청이야.

 

 

 

 

솔직하게 이렇게 칠하는건 고구려부터

 

시작된 문화라서, 전혀 이상할게 없지!

 

 

자세히 보면 흰벽에 붉은색 기둥으로 건물을 그렸다.

 

 

 

 

그래서 주칠에 흰벽 단청을 말할떄

 

[ 당나라 풍 / 왜색 ]

 

이건 맞지 않다구!!!!!!

 

 

 

 

 

흰벽에 붉은칠 단청은 확실하게!

 

[ 고구려 풍 단청 ]

 

이라고 부르는게 더 현실에 맞는 상황이야!

 

 

 

 

 

근데 너네들 혹시 이거 알어?

 

고구려는 붉은색을 4종류나...

 

사용했을 가능성이 커!

 

 

 

 

그 4종류는 이거라고 생각하면 돼.

 

주칠 / 주토 / 연단 / 석간주

 

내가 한번 쉽게 설명해볼게!

 

 

 

 

[주칠] : 수은으로 만든 중국/일본의 초고추장 색깔의 안료.

( 진사, 경면주사로도 불림 )

 

 

 

 

[주토] : 조선시대 종묘 / 궁궐의 적갈색이나 와인색의 안료.

( 산화철이 함유된 흙 )

 

 

 

 

 

[연단] : 납으로 만든 주황색 안료.

 

 

 

 

[ 전통 석간주 ] : 약간 붉은빛의 주황색 

 

 

 

 

############################################

 

 

 

 

 

하여튼

 

고구려에서는 이 4가지 종류의

 

붉은 안료들이 출토되었어.

 

 

 

 

참고로 이렇게 흰벽 + 한가지 색상

 

이렇게 단청을 칠하는 것을 사실

 

주칠 단청이라고 하지는 않아.

 

 

 

 

현대에 와서는 흰벽에 빨강단청을

 

가칠단청 이라고 해.

 

 

 

 

대분류 : 가칠단청

소분류 : 가칠단청 -> 주칠단청

 

 

 

 

 

지금 한국에서는 이런식으로 분류해.

 

아무튼 이 게시물에서는 적당히 그냥

 

붉은 단청이라고만 말할게!

 

 

 

 

이제부터 사료를 보면서 붉은색 안료에

 

대해서 하나씩 더 알아보자구!

 

 

 

 

 

 

 

- 주토 ( 산화철 성분의 흙 )-

 

 

주토와 흰벽은 가칠단청의 가장 기본이 되는 콤비다.

 

 

주토는 가장 흔한 단청 안료야.

 

단청의 기본 베이스 색상이기도 함.

 

 

 

 

그래서 주토 + 흰벽은

 

가칠 단청중에도 가장 기초 단계야.

 

 

 

 

흙에서 채취가 가능해서 그런가

 

고구려가 가장 많이 사용한 안료가

 

아닐까 싶은, 기본중에 기본 안료야.

 

 

안악1호분의 회랑을 구현해봤다. 안악1호분 그림대로 흰벽에 주토, 붉은 기와를 적용했다.

 

 

 

이 콤비네이션은

 

고구려 고분군에서 정말 쉽게 볼 수 있어.

 

 

 

무용총, 각저총, 수산리고분,

 

덕흥리 고분, 안악1호분 등등등...

 

 

 

 

거의 모든 고분에서 사용되는 붉은색이야.

 

 

 

 

많은 고구려 고분에서 확인이 가능한

 

가장 기본이 되는, 사실상 한국 건축의

 

가장 전통적인 건축물 채색 방법이야.

 

 

안악 1호분. 회랑과 지붕의 뿔장식이 보인다.  건물들과 기둥과 보, 브라켓을 전부 붉게 칠했고 전부 흰색벽이다.

 

 

 

그런데 하얀색에 붉은색인데

 

아무래도 붉은색이 많이 티가 나다보니...

 

 

 

가끔 고구려 고분의 흰벽에

 

붉은칠을 보고 이렇게 생각을 하지.

 

 

 

어 뭐야 주칠이잖아!?

 

라고 생각하기도 하지?

 

 

주칠같은데 엄밀히 말하자면 주토, 붉은흙이다. 조선의 궁궐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색이다.

 

 

 

조금 아쉽지만 사실은

 

거의 거의 다 주토야.

 

잘 알고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주칠단청의

 

안료인 수은이 거의 안나오고,

 

그나마도 질이 안좋거든??

 

 

 

 

그래서 고구려도 대체적으로는 주토를

 

사용했지. 진짜 그냥 주토. 붉은흙.

 

 

 

 

그냥 땅파서 얻는 가장 싸고 쉬운 재료가

 

주토라서, 가장 많이 이용될수밖에 없지!

 

 

 

주토단청의 최대 레퍼런스는

 

아무래도 종묘겠지?

 

 

 

주토는 사실 그냥 경복궁이나

 

종묘가면 쉽게 볼 수 있는 색상이야.

 

 

 

궁금하면 궁궐 방문해서

 

확인해보는것도 좋을거야!

 

 

 

 

 

 

 

- 연단칠 ( 납성분 ) -

 

 

 

 

 

이게 가장 신선하면서도 가장 알려지지않은

 

특이한 가칠단청중에 하나야!

 

 

 

국내에서는 아직까지는 고구려에서만

 

발견되는 유일한 단청이야.

 

 

 

색깔은 주황색 ~ 혹은

 

붉은색 ~ 주황색 사이의 오묘한 색상.

 

 

 

너네들 연단칠은

 

한번도 못들어봤지?

 

 

 

연단칠은 실제로 일단 발견은 됬어.

 

바로 덕흥리 고분에서야.

 

 

연구보고서에 덕흥리 고분의 붉은색은 [ 연단 ]을 사용했다고 적혀있다. 그러나 어디에 연단을 사용했는지 나와있지는 않다.

 

 

 

 

분명히 연구보고서에서는

 

덕흥리 고분의 붉은칠은 연단!

 

 

 

 

이라고 확실하게 적어서

 

분명하게 발견된건 사실이야.

 

 

 

그런데 어느 위치에서

 

연단이 발견되었는지는.....

 

 

 

보고서에 안 적혀 있어서 잘 모르겠네;

 

근데 윗쪽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지붕을 받쳐주는 브라켓들 ( 첨차/두공 )

 

여기 단청이 붉은색을 2개로 나눠 사용했다는 점...

 

 

 

 

기둥은 어두운 주황빛 갈색이고

기둥과 브라켓 / 사각형 받침대가 색깔이

전부 다르다는 점!

 

 

 

 

이걸 봤을때 브라켓 부분이

 

주황색이니까, 브라켓이 연단칠을

 

한걸로 예상되네.

 

 

연단은 주황색 ~ 붉은색 그 어디쯤이라, 실제로 보면 매우 예쁜 색상일것이다.

 

 

 

근데 스샷을 보면 고사리 단청이랑

 

섞여있는 단청이고.....연단칠은

 

부분적으로만 사용했잖아?

 

 

 

 

근데 왜! 내가!

 

흰벽에 건물 전체에

 

연단칠을 했을것이다!

 

 

 

 

라고 당당하게 적고 있는 것일까!?

 

그 이유를 알려줄게!

 

 

만보정 1368고분. 300년대 매우 이른 시기의 고분이다.

 

 

 

이 고분은 만보정 고분이라고 해.

 

발굴된 고구려 고분 중에서는

 

거의 최상위급으로 오래된 고분이야.

 

 

 

 

대략 4세기, 300년대 쯔음에 만든

 

고분이라고 나와있어. 사진 보면 고분에

 

뭘 막 그려놓은게 보이지?

 

 

 

 

만보정 1368 고분은 우리의 고토 만주벌판의...

 

중국 집안시에 있어서 더 제대로 연구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야.

 

 

 

약수리 고분 벽화. 만보정 고분하고 비슷하게 내부를 그렸다.

 

 

이건 다른 고분인데 내부는

 

이거하고 비슷하지?

 

 

 

 

저 그림들은 기둥/브라켓/보

 

이걸 표현했다고 나와있어.

 

또한 벽은 흰색이라고 함.

 

 

 

 

그런데 신기한점이 하나있지!

 

네이버에서 만보정 고분에 대해서

 

찾아보면 알게 되겠지만......

 

 

 

 

만보정 고분은 내부의 기둥과 보가

 

온통 검은색이라는거야!

 

 

 

 

근데 이게 연단하고 무슨 관계냐!?

 

이 검은색 기둥과 보가 연단의

 

근거 그 자체야!!!

 

 

 

 

왜냐, 생각보다 되게 간단해.

 

연단은 성분이 [ 납 ]

 

납은 산화하면 검은색으로 변해.

 

 

 

 

 

간단하지? 만보정의 검은색 칠은

 

연단으로 칠해졌는데 산화해서

 

검정색이 되었을 확률이 매우높아.

 

 

 

덕흥리 고분에서 실제로 연단을 칠했다는게 밝혀졌다.

 

 

 

잘봐!

 

덕흥리 고분에서 실제로 검사를 거쳐서

 

붉은색은 연단을 사용했다는걸 밝혀내서...

 

 

 

 

 

붉은 연단칠은 일단 무조건

 

실제로 있었다는건 밝혀졌어.

 

그것도 무려 건축물에 칠하는걸로 말이지!

 

 

 

 

 

 

그리고 삼국시대 ~ 고려시대 까지는

 

이런식으로 채색을 하는 문화가 있었어.

 

 

 

 

여기서 살색을 뭘로 만들었는지 아니!?

 

바로 [ 납 ] 성분으로 만든거야!

 

 

 

 

그래서 오른쪽의 남북국시대 신라의

 

채색불의 손이 검은색인 이유가...

 

 

 

 

납성분으로 만든 안료가 산화해서

 

시컴하게 변한거야.

 

 

 

 

 

게다가

 

둔황석굴 보면 조각들이 이상하게

 

검은색이 되었거든? 이게 다 피부를...

 

 

 

 

납성분 안료로 칠했는데 산화되어서

 

검정색이 되었다고 이미 연구가 다 되었어.

 

그렇기 때문에......

 

 

 

만보정 고분. 300년대 매우 이른 시기의 고분이다.

 

 

 

만보정 고분은 내부의 기둥과 보가

 

검은색이라고 했지?

 

 

 

그래서 내 생각은 바로 이래!

 

아마도 분명히 이랬을거같아!

 

 

 

만보정은 처음에는

 

연단을 잔뜩 칠한 고분이었을 거야.

 

 

 

그리고 이런 문화는 300년대 고구려의

 

수도, 집안시에서는 꽤나 흔했을지도 몰라.

 

 

 

이렇게 연단을 칠한 건물들은

 

산화가 진행되면서......

 

 

 

이런 느낌으로 완전히 검은색으로

 

산화했을거라고 생각해!

 

 

 

 

 

만보정도 처음엔 주황색이었다가

 

이런식으로 검게 산화된거다!

 

라는 말이야.

 

 

 

 

아마 만보정 고분을 건물로 복원하거나

 

혹은 300년대 연단칠 건물을 복원했는데,

 

 

 

 

이게 산화가 되버리면

 

딱 이 모습이 된다는 것이지.

 

4세기 고구려는 건물에 흑칠을 했다는 기록/증거가 아예없다. 만보정 고분은 주황색 연단안료가 검게 산화되었을 확률이 매우매우 높다.

 

 

 

 

그래서 만보정 고분은 사실상

 

흰벽에 주황색 연단칠을 칠한

 

아직까지는 유일한 고분이고...아직까진.

 

 

 

 

 

그리고 300년대 고구려에서는 건물을

 

납으로 만든 연단으로 칠하는 문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거의 90% 정도!?

 

 

 

 

라고 생각해도 될꺼같아.

 

신기한건 400년대 덕흥리 고분을 끝으로

 

건물에 연단칠을 한것은 더 이상 발굴되지 않았어.

 

 

 

 

아마도 400년대 이 시절에 이미 납중독이

 

문제시 되어서 싸그리 사라지지 않았을까....

 

 

 

 

게다가 산화가 심해서 일꺼같아. 검정색으로

 

너무 심하게 색이 변하는... 약한 내구성 때문에

 

기피되지 않았을까...라고 혼자 뇌피셜로 추측해본다.

 

 

 

 

 

 

 

- 주칠 단청 ( 진사/경면주사로도 부름 ) -

 

 

 

 

 

사실 주칠로만 완전히 모든것을

 

빨갛게 색칠한 고분은 한개도

 

발견된적은 없어. 좀 아쉽지.

 

 

 

 

그래도 붉은색 주칠로만 건물을 전부 다

 

칠한 건물은 있었을 것이다! 라고...

 

 

 

 

강력하게 추측과 예측을 할 수 있는

 

수준은 되거든? 우리 자료를 한번 보자구!

 

 

 

 

일단은 팔청리 고분이 있어. 팔청리 고분

 

건축 그림들은 매우 붉은색의 주칠로

 

그린듯한 표현을 했고.

 

 

 

팔청리 고분의 다른 그림은 보면 알겠지?

 

사람인 人 장식물은 어두운 붉은색인데

 

아랫쪽은 꽤나 밝은색이란 말이지!?

 

 

 

 

고구려는 붉은색을 3~4개로 나눠서

 

사용하는 문화가 있다고 내가 말했지!?

 

 

 

그래서 사람인 人 장식물은

 

아마 주토로 칠한거 같고...

 

 

 

 

아랫쪽 건물 본체들은 아마 주칠로

 

칠하지 않았을까? 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아랫쪽 기와지붕을 주황색 연단으로

 

확실하게 나눠서 칠한걸 보면 더더욱

 

의심이 되는 상황이지.

 

여긴 쌍영총이야.

 

쌍영총은 단청이 확실하게 그려진 고분이야.

 

 

 

 

그런데 거의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주칠로 미친듯이 칠한 고분이라고...

 

생각하면 될거야.

 

 

 

 

이렇게 보면 확실히 다른 고분들이랑

 

다르게 꽤나 많이 붉은색인게 보이지?

 

 

 

 

게다가 단청을 했다고는 하지만

 

사람인人 장식이라던가,

 

 

 

 

브라켓이나 기둥은 전부 그냥

 

붉은색만 칠했지. 그래서 반정도만

 

단청을 칠한 건물이고.....

 

 

 

 

 

몇몇 단청을 칠한 부분만 제외하면

 

흰벽에 주칠 단청에 매우 근접한

 

고분이야.

 

 

 

 

그래서 이 정도면 뭐 거의 주칠에 흰벽

 

문화가 있지 않았을까....라고 강하게

 

긍정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지.

 

 

 

 

아 그리고

 

이 게시물을 보면 잘 알겠지!?

 

 

 

고구려는 흰벽에 붉은색만 칠한

 

단순한 흰벽에 붉은단청이 분명히 존재했지만!

 

 

 

화려한 고사리무늬 단청도 존재했다구!

 

그럼 쌍영총 단청을 건물에 적용하면

 

어떤 느낌인지 보자구!

 

 

쌍영총 단청을 적용하면 아마도

 

이런 느낌일꺼야. 꽤 멋지지 않니?

 

 

 

중국같지도, 일본같지도 않아.

 

주칠로 건물을 도배했는데도 말이지...

 

 

 

 

뭔가 삼국시대가 굉장히 강하게

 

느껴지고 되게 멋지지 않니!?

 

 

근접해서 보면 이런 느낌이야.

 

주칠만 하면 뭐랄까 건물의

 

색감이 매우 강해져.

 

 

 

그리고 위에서 적었지만 쌍영총 단청은

 

부분적으로 고사리 무늬를 그리긴 했지만!

 

 

 

기둥이나 브라켓은 그냥 주칠만 했음...

 

그래서 그 양식을 그대로 건물에 적용하면,

 

 

 

뭐랄까 사실상 거의 흰벽에 주칠단청에

 

매우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

 

 

 

 

그래서 쌍영총 단청을 보고

 

주토나 연단, 석간주가 아닌...

 

 

 

고구려도 나름대로 흰벽에 주칠을

 

칠한 문화가 있지 않았을까?

 

 

 

 

아니면 못해도 고사리 무늬하고

 

적당히 섞인 사실상 주칠 단청 건물이

 

있지 않았을까? 하고...

 

 

 

 

강한 긍정이 가능한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생각함.....

 

 

 

 

그래서 이런식으로 주칠과 흰벽으로

만들어진 건축물도 있었을 거라는

 

예상이 가능하고...




주칠에 흰벽 건물에다가 고구려 붉은기와를

적용하면 이런 느낌이야. 중국 일본하고도

많이 다른 느낌이지!?

 

 

 

 

 

 

- 석간주 ( 산화철 흙 or 암석 ) -

 

 

 

 

 

 

석간주는 색깔이 되게 오묘해.

 

약간 주황색 ~ 갈색 사이의

 

어디쯤의 색상이야.

 

 

 

 

석간주는 안료가 산화철 성분을

 

강하게 띄는 흙이나 암석이야.

 

 

 

 

남한쪽에서는 울릉도에서만

 

확인이 되는데, 암석형태임.

 

울릉도에 실존하는 암석형 석간주다 /// 출저:https://blog.naver.com/gongod5537/

 

출저 : https://blog.naver.com/sniper98

 

 

 

그래서 일단 암석이라고 적어놨어.

 

흙으로도 이런 색깔이 발견될수도 있어.

 

근데 일단 한국에선 암석형태이니....흠.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나름대로

 

울릉도 석간주 처럼.....

 

 

 

 

주황색에 가까운 석간주를

 

사용한것을 볼 수 있어.

 

 

 

 

수산리 고분의 브라켓이나 기둥,

 

용강대총 모사도를 보면 빨강색이 아니라...

 

 

 

 

울릉도 석간주 암석 마냥 주황색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만주나 고구려 영토 어딘가에

 

석간주 암석을 캐다가 사용했다고

 

예상할 수 있지. 

 

 

 

윗쪽 브라켓과 기둥의 색상이 다르다. 기둥은 전형적인 전통 석간주 색상을 보여주고 있다.

 

 

 

덕흥리 고분에서도 그게 나와.

 

 

 

다만 석간주는 안료의 상태에

 

따라서 붉은 주황색 ~ 조금 짙은 갈색 등등...

 

색상이 조금씩은 다르게 보여.

 

 

 

 

그러나 전통 석간주는 주황색하고

 

가장 가까움. 산화되면 약간 어두운 갈색이 됌.

 

 

 

 

그리고 전통 석간주는 실제로

 

건물에 적용한 실물을 볼 수 있어!

 

 

 

 

한국에서는 남대문 ( 숭례문 )

 

여기서 확인이 가능해.

 


숭례문은 단청 이슈가 있으나, 기둥은 울릉도 석간주 사용했다. 전통 석간주는 붉은 주황색에 가깝다.

 

 

숭례문이 단청이 어쩌고 말이 많은데

 

기둥은 일단 울릉도 천연 석간주가 맞아.

 

 

 

 

생각보다 되게 붉으면서도 진한

 

갈색 ~ 주황색 정도의 색상이지??

 

 

 

 

실제로 숭례문이나 남대문 시장

 

갔다가 한번씩 확인해 보라구!

 

 

 

 

색상이 생각보다 강렬한 주황색이라서

 

색다른 느낌이 들어서 재밌음!

 

 

석간주로 도배한 건축물을 

 

우리 한번 보자구!

 

 

 

그런데 단청 무늬가 있는 건물로 만들었어.

 

왜냐하면 고구려 고분군에서....

 

 

 

 

전체 석간주 + 흰벽

 

이 콤비네이션은 단 한번도 발견된 된적이 없음;

 

 

 

석간주가 의외로 좀

 

비싸서 그런가?

 

 

 

 

고구려 고분벽화 건축 단청에서

 

석간주는 항상 덩쿨무늬 바탕색

 

거의 무조건 이걸로 사용해.

 

 

 

 

그래서 석간주는 덩쿨무늬의

 

배경 색으로만 사용하는게 고증엔 맞음.

 

 

 

 

참고로 단청은 여러가지 단청을

 

믹스해서 만들었고 단청 색상의

 

기본 베이스는 바로 여기야!

 

 

이 단청은 덕화리 고분 모사도에 있는

 

석간주 or 주토 고사리 무늬를

 

적극 활용해서 만들어 본거야.

 

 

 

 

그리고 믹스한 또 다른

 

고사리 무늬 단청 자료가

 

있어서 이거도 참조를 했어.

 

 

여기는 용강대총이야.

 

미칠듯한 고사리 무늬의 고분이지.

 

 

 

사진은 주토같이 붉은 적갈색으로 보이잖아?

 

그런데 위에서 자료로 한번 나왔던건데...

 

 

실제로 발굴한 일본사람은 또

 

용강대총 고사리 무늬를 석간주로,

 

 

 

 

주황색으로 복원했단 말이지?

 

실제로 본 사람이 말이야....하...

 

 

 

 

이렇게 자료 부족할때마다 진짜

 

우리손으로 고구려 고분군을 관리하고

 

제대로 된 관찰을 했으면 얼마나 좋을까 싶다...

 

 

 

 

하여튼간에

 

덕화리 고분의 모사도는 이게 사실

 

주토인지 석간주인지 구분이 잘 안가고...

 

 

 

 

용강대총 단청은 실제로 발굴한 사람은

 

주황색의 석간주로 따라 그렸고,

 

 

 

 

근데 또 사진은 붉은색 주토란 말이지?

 

그래서 좀 만들기가 애매하다보니까...

 

 

 

그래서 적당히 주토 + 석간주를

 

섞어서 재현 해본거셈;

 

 

 

 

뭐... 석간주나 주토나

 

둘다 산화된 철성분이 주된

 

성분이니까..... 구분이 잘 안됨;;;

 

 

 

 

어찌보면 성분이 같으니까

 

색감이 비슷한게 당연한거겠지;;;

 

 

 

 

이렇게 보면 우리가 알고 있던

한국의 전통적인 건축 색상하고

오나벽하게 반대되는 느낌이 들지 않니???




초록초록한 조선시대만이

 

우리나라의 전통이 아니라구! 

 

 

 

고구려시절은 되려 붉은색들이

 

우리의 전통 색상 이라구!

 

 

 

 

고구려 시절 우리의 전통 색상은

빨강 / 주황/ 흰색/ 각종 붉은색이 막 뒤섞인...




전반적으로 붉은빛을 띄는 꽤나 투박한

느낌이야. 근데 또 투박하기는 한데 나름

예쁘지 않니? 



고사리 무늬하고

 

주황색이 왠지 투박해보여도.....

 



자세히 보면 생각보다 꽤 고풍스럽고

꽤 예뻐보여. 음.....나만 이렇게 느끼남...?

 



하하... 여튼......

 

그런데 색감은 주황색이라고 했지?

 

 

 

 

그런데 연단칠 또한 주황색이잖아!?

 

우리 그럼 연단칠하고 색상을 비교해볼까!?

 

 

석간주는 색상이 붉은 주황색~

 

살짝 붉은 갈색 등등 꽤 다양해.

 

그리고 꽤 차분한 색감이지.

 

 

 

근데 석간주는 왜 색이

 

조금씩 다 다를까? 이거는...

 

 

 

결국 원료가 산화된 철이라서

 

안료에 따라 / 산화된 정도에 따라

 

색이 다 달라.

 

 

 

막 딱 하나의 색만 있다!

 

이럴수가 없는 안료임...

 

 

 

하여튼 전반적으론 차분하고

 

살짝 어두운 주황색 톤이지.

 

연단칠 옆쪽 회랑에는 주토를 칠했다. 색깔 차이가 많이 난다!

 

 

 

아마 연단 안료가 색깔이

 

더욱 강렬할꺼야! 붉은색도

 

좀더 강하고 , 더 주황색이고 그럴듯.

 

 

 

 

더 주황색이고 더 팍팍 튀고

 

여튼 이럴거임. 납으로 만들어서

 

꽤나 강렬한 색상일거야...

 

 

 

 

 

실제로 연단칠 건물이 있다면

 

석간주하고는 차이가 아마도

 

많이 날거야! 신기하지!?

 

가장 사실적인 연단과 석간주 색상의 차이점

 

 

 

아마 실제로는 이 정도로 차이가

 

날꺼라는 예상을 할 수 있는 상황임.

 

 

 

그럼 이번에는 연단하고

 

주칠하고 색깔 비교를 해볼까!?

 

 

 

고구려는 붉은 안료를 여러가지로

 

나눠서 사용했다! 이 사실을

 

한번 제대로 느껴보자구!

 

 

쌍영총 단청의 주칠 단청을

 

적용한 건물이고 전형적인

 

중국 일본식 초고추장 색상이야.

 

 

 

 

이게 가장 전형적인 흰벽에 주칠이지.

 

옆쪽에 회랑은 주토를 칠했는데

 

색상 차이가 꽤 많이 나지!?

 

 

같은 건물에 연단을 칠하면

 

뭐랄까 왜인지  좀 일본같은?

 

 

 

 

이런 느낌이 되게 강해지는 느낌임.

 

일본 같은데 또 조금 다른...그런느낌?

 

 

 

 

참고로 고구려도 일반적인

 

검은 회색빛 기와가 자주 발견되!

 

그래서 비교해보라고 일반 흑색기와 설치해봣음!

 

 

 

고구려는 붉은색을 굉장히 여러개로 나누어서 사용했다.

 

 

 

 

아무튼간 고구려는 이런식으로

 

붉은색을 여러가지로 나눠서

 

사용했어.

 

 

 

 

신기하지?

 

 

 

 

그냥 붉은색이면 싹다 주칠인줄

 

알았는데 의외로 종류가 많은게 말야!

 

 

 

 

이 게시물을 보는 사람들이

 

고구려가 이렇게 다양한 색상을

 

사용했다! 라는 사실을 알았으면 좋겠구나!

 

 

 

 

하여튼 고구려 건축물을 실제로

 

복원 및 재현할때는 반드시...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붉은색들을

 

공격적으로 사용했으면 참 좋을거 같다.

 

언젠가 실제로 보는 날이 오기를...!!!

 

 

 

 

 

 

 

* 번외편 : 석간주의 또 다른 종류들 *

 

 

 

 

 

이 게시물을 보다보면 의문이 생길거다.

 

분명 궁궐 기둥은 석간주 일탠데?

 

 

 

 

도대체 왜  계속 주토라고 함?

 

이런 의문이 생길것이다.

 

 

 

 

이런거다.

 

 

 

 

요즘은 붉은흙, 주토 안료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추세다.

 

 

 

 

왜냐하면 수입산 석간주가

 

색깔이 월등하기 때문이다.

 

 

 

 

주토 / 석간주 둘다 산화철이라서

 

색상 뉘앙스가 비슷하다보니,

 

 

 


요즘에는 궁궐 제외하면 대부분


주토대신 , 값싸고 발색이 강하며

안료 성분도 사실상 똑같은 수입산 석간주를 애용한다.

 

 

결론은 주토는 거의 잊혀져서

웬만해선 사용하지 않는 안료이다.

 

 

 

 

근데 17세기 까지는 주토가

 

그냥 기본 안료였고, 궁궐에서

 

끊임없이 사용된 안료였다.

 

 

 

 

그래서 지금 조선의 궁궐 어디를 가든

 

내부에는 주토가 아직 조금씩 남아있다.

 

 

 

 

그러나,

 

 

 

 

19세기 쯤에는 궁궐도 수입산

 

석간주를 발랐기 때문에 주토는

 

이때부터 거의 잊혀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한 사실상 원료가 둘다 철성분이라

 

주토나 석간주나 성분이 다를바 없어서,

 

 

 

 

사실상 주토는 거의 잊혀졌고

 

석간주로 편입되다싶이 되어버렸다.

 

 

 

 

재밌는건

 

석간주는 철성분이라서

 

색상의 톤 / 뉘앙스 종류가 꽤 많다.

 

전통건축 매니아라면 한번 눈여겨 보면 재밌을 것이다.

 

 

 

대한문의 석간주.

 

전형적인 산화된 석간주이며

 

붉은 팥알 색상이랑 가장 가깝다.

 

주토하고도 뉘앙스가 거의 똑같음.

 

 

 

이건 구한말 수입된 석간주다.

 

이게 딱 그냥 쉽게 설명하자면

 

 

 

아이스크림 메가톤바 색깔이다.

 

 

 

 

19~20세기 궁궐 재건할때 많이

 

사용된 색상이라 지금 궁궐에서

 

의외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색상이다.

 

 

 

[ 현대 석간주 ]

 

주칠에 필적하는 엄청 새빨강 안료.

 

독일산이 주류다.

 

 

 

최신식 사찰 기둥을 보면

 

엄청 새빨게서 주칠했네? 싶을거다.

 

 

 

근데 사실은 석간주다.

 

독일 / 유럽산 석간주는 거의

 

주칠 수준으로 새빨간 발색을 보여준다.

 

 

 

 

그래서 요즘 석간주는 주칠하고 거의

 

비슷해서 눈여겨 보지 않으면 구분도 힘들다.

 

참고로 3개 모두 석간주로 불리우고 있다!

 

 

 

숭례문의 울릉도 채석 석간주.

 

 

 

우리나라 고구려때부터 전통적으로

 

사용된 석간주는 붉은빛의 주황색이며

 

가끔 좀 어두운 갈색이기도 하고

 

생각보다 밝은톤인데 꽤 차분하다.

 

 

 

 

 

* 석간주 안료는 지금도 많이 사용되며

 

현대에 와서는 안료를 전량 수입한다.

 

 

 

 

그래서 수입산은 발색이 주칠하고 거의 같다.

 

혹은 살짝 붉은기가 도는 갈색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 게시물에서는 주황색을 띄는

 

전통 암석 석간주를 기준으로 게시물을 작성했다.

 

 

 

 

#############################################################################

 

 

 

 

아무튼 이런 다양한 붉은색을

 

사용하는 고구려 건축물을 실제로

 

복원 및 재현했으면 참 좋겠구나.

 

 

 

 

그럼 재미있게 봤기를!

 

 

 

 

 

반응형

+ Recent posts